하늘, 흰 벽, 밝은 면을 볼 때 시야 속에 희미하게 모기와 같은 것이 보이며 시선을 움직이면 그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 처럼 보이는 증세입니다.
때로는 실, 먼지, 구슬 모양의 것도 보일 수 있는데 주로 유리체가 혼탁할 때 나타납니다.
눈 안에는 눈을 둥글게 유지시켜주는 유리체라는 겔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원래 유리체는 계란 흰자처럼 투명해서 느껴지지 않지만 노화 현상 때문에 혼탁이 생기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의해 혼탁한 부분 뒤로 그림자가 비쳐 모기나 실 같은 것들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생리적인 혼탁은 유리체의 섬유화나 후부 유리체 박리를 그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후부 유리체 박리는 노화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망막에 바짝 붙어있던 유리체가 망막과 시신경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둥근 고리 같은 혼탁이 생기는 것입니다.
병적인 혼탁은 당뇨 합병증이나 혈관 폐쇄 등으로 유리체 내에 출혈이 생기거나, 망막박리, 망막변성, 포도막염 등의 질환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병적인 혼탁을 생리적인 혼탁과 구분하기 위해서는 동공을 크게 하는 안약을 점안한 후 눈 속을 직접 세밀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은 치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적인 비문증은 그 원인을 찾아 치료를 해야 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의 경우에 수술로 제거하면 되지 않느냐는 질문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이런 경우 수술은 ‘빈대 한 마리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고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기타 안약, 주사, 내복약 등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병적인 비문증의 경우는 반드시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으로 진단받은 후에는 정기적으로 안과를 찾아 망막박리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비문증이 생긴 경우 6개월 ~ 1년이 지나면 망막박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망막박리가 발생하면 시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을 진단받은 경우라도 일상생활 중에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면 반드시 지체없이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